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제 사망자 2명이 나온 아파트 화재 원인이 담뱃불일 가능성 있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, 아파트 흡연은 평소 주민 갈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. <br> <br> 서울엔 단지 내부에서 흡연이 금지된 금연 아파트가 500곳 있는데요, 실상은 담뱃불이 꺼지지 않는 흡연 아파트라고 합니다.<br> <br>다시간다, 이준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2016년, 금연아파트로 지정됐지만 흡연 갈등이 여전했던 서울의 아파트. <br><br>7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아파트 곳곳에 담배꽁초가 버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[아파트 주민] <br>"(혹시 금연 아파트 지정된 뒤에 좀 단속하러 나오거나 그런 거 보신 적 없으세요?) 네 본 건 없어요." <br> <br>바로 옆 아파트 단지. <br> <br>주차장 기둥엔 금연 호소 글이 붙어있지만 잠시 후 흡연자가 나타납니다. <br><br>[아파트 주민] <br>"(주차장에서 흡연하시는 이유가 따로 있으실까요?) 예열하는 중이라 좀 잠시 저기" <br> <br>금연아파트로 지정된 천 세대 넘는 대단지 아파트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<br>이곳 아파트 지하주차장을 돌아봤는데요. <br> <br>5분 만에 이렇게 한 손 가득 담배꽁초를 주웠습니다.<br><br>금연아파트는 입주민 절반 이상이 동의하면 지정되는데, 지하주차장, 계단, 복도 등 실내 공동공간에서 담배를 피우면 지자체에서 과태료 부과가 가능합니다.<br> <br>하지만 현장 적발은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아파트 경비원] <br>"피우지 말라고 그래도 피워요. 말 안 들어요. 제 입장에선 과태료를 내라고 할 수가 없죠. 그 사람들이 저희 봉급 주는데" <br><br>지난 7년간 서울 시내 금연 아파트는 500곳으로 늘었지만, 과태료 부과는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.<br><br>[구청 관계자] <br>"현장에서 피우고 있는 상황을 단속해야 하기 때문에 (단속) 실적은 없다…상징적인 제도인 것 같고요." <br> <br>게다가 금연 구역이 실내로 한정돼 있어 어린이 놀이터나 정원에서의 흡연은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놀이터 바로 앞인데 담배(꽁초)가 있네요" <br> <br>[아파트 주민] <br>"(금연 아파트랑 아닌 곳이랑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서) 한 번도 그런 차이를 느껴본 적이 없어요. 애들 앞에서도 진짜 많이 피우고…." <br> <br>실내라도 자기 집안에선 피우는 건 제재할 수 없습니다. <br><br>[피해 주민] <br>"내려가서 좋게 말씀드렸죠. 안 파웠으면 좋겠다. 대답은 알겠다 하고 바뀌는 건 없었어요. 층간 소음을 데시벨로 (측정)하듯이 (층간) 흡연도 측정해서 제재할 수 있는 법안이 있으면…." <br><br>금연아파트 제도 도입 후 간접흡연 민원은 오히려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.<br><br>눈 가리고 아웅에 그치지 않으려면 실효성 있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다시 간다 이준성입니다. <br> <br>PD : 윤순용 <br>AD : 김승규 <br>작가 : 김예솔<br /><br /><br />이준성 기자 jsl@ichannela.com